티스토리 뷰

일반적으로 칼을 허리띠에 푹 찔러 넣어서 패용하는 방식은 일본 방식입니다. 일본도 중에서도 주로 전국시대 말기에 나온 打刀라는 칼의 패용방식이라고 보면 됩니다.


조선은 환도를 어떻게 패용했을까?

사실상 조선 전기의 기록은 없기 때문에 뭐라 말하기 힘듭니다. 하다못해 칼이나 칼집 유물이라도 남아 있으면 대략이나마 알 수 있겠지만.현재 남아 있는 칼 유물 중 조선 전기의 것은 없다고 합니다.

 

임진왜란 이후 영,정조대 이후의 패용 방식, 조선 후기 환도 패용의 일반적인 방법은 칼자루가 뒤로 가게 해서 허리 부근에 휴대하였습니다.


조선 후기 그림들을 통한 환도의 패용 위치 및 방식

 

  

 

 

마지막 그림은 일본과 조선의 칼 패용 방법의 차이를 잘 보여주는 그림.


그 림에서 보는 것처럼 조선은 손잡이부분을 뒤로 가게 패용하고 있는데 일본식 패용방법에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칼자루가 뒤로 가게해서 휴대하는 것이 상당히 어색하게 보이겠지만 청나라와 유럽에서도 동일한 패용방법이 있었다고 하니 비실전적이거나 비효율적인 방법은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청나라 무사 그림)


칼 자루를 뒤로 가게 패용한 함으로써 일본 거합도와 같은 신속한 발도는 불가능하지만, 조선이나 청 모두 칼보다는 활을 더 많이 사용하고 중요한 공격무기였기에 신속한 발도 대신 활을 조금 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와 같은 패용법이 정착된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의견.

 

청의 패용법이 병자호란 이후 조선으로 수입된 것인지. 아니면 이러한 패용법이 그 이전부터 동북아시아의 보편적인 패용법인지는 현재로선 확인이 불가능할 것 같습니다.

 

조선식 환도 패용방법에 대해 조금만 더 자세히 살펴보면...


조선식환도 패용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품은 아래 그림에 보이는 띠돈. 이 띠돈에 의해 환도를 돌리기가 쉬워 칼자루가 뒤에 있는 상태에서도 간단하게 앞으로 돌려 발검이 가능.


 

 

 

위의 패용법이 절대 정확하다 고는 할 수 없지만 대략적인 상황은 위와 같다고 볼 수  있다.


             

                                              환도의 발검 방법

 

조 선 말기로 넘어오면서 환도가 보조무기로서의 역활마져도 줄어들게 됨에 따라 단순히 의장용이나 '격식'에 맞추기 위해 휴대하게 됨에 따라 환도의 길이가  급격히 짧아져 중도(中刀) 이하의 길이가 되었고 의복의 변화에 따라 허리끈이 허리에서 가슴께로 올려감에 따라 환도의 패용 위치도 따라 올라가 거의 겨드랑이 밑에 오도록 패용하는 모습이 눈에 띄게 됩니다.


                                        

                                                      (조선 말기 무관)


원본 http://blog.naver.com/ktjwin/21926855

'Game > Docu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프(Nerf)의 유래  (0) 2017.06.21
유럽의 칼 이야기  (1) 2008.11.26
나이프 포지션 과 그립법  (0) 2008.11.26
쿠크리  (0) 2008.11.26
그라디우스  (0) 2008.11.26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